사회적 수용성의 의미와 쟁점 지도지능형 쓰레기통은 IoT·AI·빅데이터를 결합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행정을 효율적으로 집행 가능하게 하지만, 기술 효용이 곧바로 사회적 수용성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시민은 “왜 도입해야 하는가”뿐 아니라 “어떻게 도입되는가”를 본다. 수용성의 핵심 쟁점은 ▲감시 우려와 개인정보보호 ▲공정성·형평성 ▲편의성과 이용경험 ▲비용 대비 편익 ▲거버넌스와 책임성이다. 예컨대 지능형 쓰레기통이 개인별 배출 데이터를 수집한다면 프라이버시 침해 불안이 생길 수 있고, 인센티브 설계가 특정 계층에 불리하게 작동하면 정책 신뢰가 흔들린다. 또한 고령층·장애인·다문화 구성원이 앱을 사용하기 어렵다면 디지털 격차가 확대된다. 반대로 시민 체감 편익(악취·해충·침출수 감소, 청결한 골목, ..